해외 클라우드 서버 요금 인상? 국내 서비스가 더 유리한 이유 3가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기업과 개발자들이 겪는 고민 중 하나는 요금의 예측 불가능성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물리 서버를 직접 구매하고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비용 부담이 없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서버를 늘리고 줄이는 것 또한 자유로워서 장점에 속하죠.

하지만 비용이 매번 달라진다는 고민도 함께 따라옵니다. 서비스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늘어난 서버 비용을 축소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특히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등과 같은 해외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 서버 요금 자체는 고정되어 있어 보이지만 환율 변동이라는 외부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환율이 오르면 클라우드 비용도 오른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의 요금도 함께 오릅니다. 문제는 환율 리스크가 생각보다 큰 변수라는 점입니다.

해외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USD 기준 요금에 따라 과금이 진행됩니다. 같은 인스턴스를 같은 시간 동안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율 차이로 월 2~3만 원씩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 요금 상승을 연간으로 환산하면 상당한 예산 초과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어? 이번 달 요금이 생각보다 비싸게 나왔네?’로 시작했지만 매월 요금이 켜켜이 쌓이면서 큰 차이를 만드는 거죠.

이런 환율 변동의 영향은 예산이 빡빡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더 치명적입니다. 해외 클라우드 사의 특정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기업이 아니라면,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가 비용 절감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놓치지 말아야 할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3가지 이점

① 환율 비용 안정성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원화(KRW)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클라우드 비용을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연초 예산 계획을 수립하기 쉽고 세금계산서 발행이 가능한 것도 장점입니다.

② 빠르고 편한 기술 지원

기술 지원은 ‘언어와 속도’ 모두 갖춰져야 합니다. 해외 클라우드는 튜토리얼 자료부터 A/S까지 영어가 기반입니다. 한국어 번역 자료와 기술 지원이 가능한 서비스도 일부 있으나 진입 장벽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습니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도입 상담부터 기술 지원까지 같은 언어로 더욱 빠르게 통합된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③ 데이터 주권 확보

해외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경우 국가 간 데이터 주권 이슈가 있습니다. 소버린 클라우드(Sovereign Cloud)라고도 불리는 컴퓨팅 환경은 개인정보 보호와 국가 안보를 위해 데이터를 국내에 안전하게 보유하고 통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는 국내 IDC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운영되며,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법적 기준과 인증 체계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이제는 환율 리스크까지 고려할 때

클라우드 서버 비용도 결국 꾸준히 관리해야 하는 고정비입니다. 예측할 수 없는 환율 변동을 피하고 즉각적인 기술 지원을 생각한다면 국내 클라우드가 최적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특히, 가비아 클라우드는 국내 중소기업, 스타트업, 개발자에게 맞는 합리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로 설계되었습니다. 기업 비즈니스를 위한 핵심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를 위한. 비즈니스에 가장 가까운 클라우드.

가비아 클라우드가 궁금하시다면? 3개월 무료로 먼저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