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버를 도입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한 스타트업 A. 런칭 초기에는 하루 방문자가 1천 명 정도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리소스 사용량도 많지 않았죠. 그런데 어느 날, …
해외 서버 요금 인상? 국내 클라우드가 유리한 이유 3가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기업과 개발자들이 겪는 고민 중 하나는 요금의 예측 불가능성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물리 서버를 직접 구매하고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비용 부담이 …
국내외 클라우드 6사 가격·성능 비교 분석.zip
클라우드 서버 사용 중 예상치 못한 청구 금액을 보고 당황했던 경험, 다들 있으신가요?😯 막상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난 후 걷잡을 수 없이 증가하는 트래픽 비용으로 몸살을 …
[칼럼] 클라우드 비용, 안녕하십니까
경기 불황 장기화에 따라 고공 행진하던 클라우드 업계도 변화가 찾아왔다. 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이를 줄이고자 하는 기업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실상을 살펴보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정의와 특징 톺아보기
IT 인프라를 사용하면서 매번 물리 서버를 증설하거나 축소하는 게 불편하지 않으셨나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량제 형태로 서버를 구독하며 자유롭게 사양을 조정할 수 있는 클라우드 …
당신의 서버, DDoS 공격으로부터 안녕하신가요?
‘정보보호의 날’의 유래 매년 7월 둘째 주 수요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정보보호의 날’입니다. 정부 부처에서 공동으로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고 국민들의 정보보호를 생활화하기 위해 2012년에 …
클라우드 도입 시 MSP 선정 기준 3가지
MSP의 필요성만큼 어떤 MSP 업체를 선택하느냐도 중요한데요. 오늘은 클라우드 도입할 때 매니지드 서비스, MSP 업체를 고르는 3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MSP란? 클라우드 도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사실
MSP란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업체를 의미합니다. 문자 그대로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MSP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서버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 vs 베어메탈 서버 비교
IT 인프라는 서버 가상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합니다.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엔진 등 다양한 가상화 기술의 적용 유무에 따라 베어메탈 서버, VM, 컨테이너와 같이 인프라 서비스를 …
- Page 1 of 2
- 1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