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서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VPS 호스팅과 클라우드는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IT 자원을 활용하는 범위와 방법을 고려할 때, 클라우드가 훨씬 더 큰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잠깐 ☜
여기서 VPS 호스팅과 클라우드 중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과금 방식/IT 자원 활용 범위/스펙/가격 등 요소별로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가상서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VPS 호스팅과 클라우드는 같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IT 자원을 활용하는 범위와 방법을 고려할 때, 클라우드가 훨씬 더 큰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PS 호스팅과 클라우드 중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과금 방식/IT 자원 활용 범위/스펙/가격 등 요소별로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Part 1. 도메인 상식
1-1. 도메인 개념
도메인이란?
도메인에도 ‘단계’가 있다!
1-2. 도메인 종류
익숙한 듯, 익숙하지 않은 ‘TLD’란 무엇일까?
TLD 한 눈에 비교하기
1-3. 도메인 라이프 사이클
도메인, 영원한 소유는 없다! ‘도메인 라이프 사이클’ 알아보기
COM, NET으로 대표되는 ‘gTLD’의 등록 주기는 어떻게 될까?
KR로 대표되는 ‘ccTLD’의 등록 주기는 어떻게 될까?
1-4. 도메인 통계와 역사
인구, 소득, 도메인의 상관관계
세계 최초의 도메인은 무엇일까?
최초의 도메인과 함께 보는 1단계 도메인의 탄생
윈도우95에서 시작된 2차 도메인 전성기
2016년 도메인 업계의 새로운 바람, ‘New gTLD’
1-5. 도메인 자주하는 질문
도메인 등록은 어디에서 할 수 있나?
업체마다 다른 도메인 등록 비용, 무엇이 진짜일까?
도메인, 한 번 등록하면 영원히 내 것이 되는 것일까?
도메인, COM, NET만이 답일까?
도메인에 대한 오해, 무엇이 있을까?
Part 2. 도메인 관리
2-1. 도메인 등록
좋은 도메인 고르는 TIP
웹사이트 제작의 첫 걸음, 도메인
놓치면 큰일나는 도메인 등록 필수 정보!
.com 도메인을 얻는 5가지 스마트한 방법
먼저 결제한 사람이 도메인의 주인이 된다
함부로 못 바꾸는 도메인 정보는?
홀쭉한 도메인 정보와 뚱뚱한 도메인 정보
레지스트리? 레지스트라? 리셀러?
2-2. 등록 정보 조회
‘어떤 도메인이든’ 검색 가능한 WHOIS는 무엇이며, 어떤 정보가 제공될까?
도메인에 관해서는 구글보다 똑똑한 WHOIS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도메인 세계의 뜨거운 감자, WHOIS: 정보의 투명한 공개인가 개인정보의 침해인가
무시하면 큰일나는 도메인의 과거
2-3. 소유권 이전
기관 이전과 소유권 이전의 차이점
도메인 소유권 이전의 정의와 제한
도메인 소유권 이전 절차의 유의 사항
2-4. 기관이전
기관이전 제한은 없나? 사전 확인부터 꼼꼼하게!
도메인 기관이전 절차의 A to Z
도메인 이전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들
2-5. 보안
도메인, 등록보다 중요한 것은 보안!
Part 3. 도메인 활용
3-1. 도메인 기본 활용법
도메인 활용의 기본, 웹사이트 연결하기
내 블로그에 새로운 이름을 입히는 방법: 도메인 연결하기
도메인을 활용하여 나만의 이메일 주소 만들기
포털 메일 대신 도메인 메일을 쓰는 것이 좋은 세 가지 이유!
3-2. 파킹, 포워딩
홈페이지, 비워두지 마세요: 도메인 파킹 활용하기
‘도메인 포워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내 홈페이지의 접속 통로 넓히기
3-3. 마케팅 사례
도메인이 전한 코카콜라의 61가지 이야기
3-4. 구매 및 판매
등록된 도메인, 살 수는 없을까?
도메인 이름 직거래는 이렇게!
도메인 중개 사이트에 등록된 매물 구매하기
내가 등록한 도메인을 팔 수는 없나?
3-5. 분쟁
도메인 분쟁의 배경, 상표권
gTLD 분쟁은 어떻게 해결할까
도메인 분쟁, 중재는 어떻게
도메인 분쟁의 체크 포인트!
도메인 분쟁 중재 판정의 결과
part 4. DNS(Domain Name System)
4-1. DNS 기초 지식
DNS 기초 지식: 컴퓨터의 실체와 작동 원리 上
DNS 기초 지식: 컴퓨터의 실체와 작동 원리 下
4-2. DNS 알아보기
‘네임서버 설정’으로 알아보는 DNS: ① 도메인 등록 페이지에서 DNS 키워드 찾기
‘네임서버 설정’으로 알아보는 DNS: ② IP 주소와 호스트명 알아보기
‘네임서버 설정’으로 알아보는 DNS: ③ 네임서버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나
인터넷 발전사로 알아보는 DNS – ① 최초의 연결
인터넷 발전사로 알아보는 DNS – ② 호스트의 변화
인터넷 발전사로 알아보는 DNS – ③ 네트워크의 확장
인터넷 발전사로 알아보는 DNS – ④ 전환, 새로운 시스템을 찾아서
4-3. DNS 구성 요소
DNS 구성 요소 – ① 도메인 이름 공간 (Domain Name Space)
DNS 구성 요소 – ② 도메인 네임 서버 (Domain Name Server)
DNS 구성 요소 – ③ 존 파일 (Zone File)
Part 1. 인프라 도입
1-1. 인프라 비교
호스팅 한 눈에 비교하기
웹호스팅 / 서버호스팅 / 클라우드 차이점은?
서버임대? 구매? 클라우드? ? 적절한 선택하기
‘공간’과 ‘비용’으로 알아보는 웹호스팅, VPS, 서버호스팅, 클라우드의 차이점
VPS호스팅과 웹호스팅 비교하기
가상서버와 물리서버 상세 비교하기
가상서버(VPS호스팅/클라우드) 비교하기
1-2. 업체 컨설팅
IDC 서비스 컨설팅, 왜 필요한가?
호스팅 업체와의 컨설팅 과정에서 받을 수 있는 질문들
호스팅 업체의 견적서, 어떻게 검토하나
믿을만한 호스팅 업체, 어디 없을까?
1-3. 인프라 구성 사례
Percona Xtradb 이용한 MySQL클러스터
보안에 투자할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
1-4. 인프라 용어
[인프라 용어 알아보기] 제 1탄: CPU, 제조공정, 클럭, 코어, 스레드, 캐시 메모리
[인프라 용어 알아보기] 제 2탄: 메모리(RAM), 종류, 용량, 동작 클럭, 슬롯, ECC
[인프라 용어 알아보기] 제 3탄: 디스크(DISK), 용량, 회전수, 버퍼 용량, 크기, 인터페이스, A/S 보증기간
Part 2. 서버
2-2. 서버 선택
서버와 일반 컴퓨터, 무엇이 다를까?
서버 선택 시,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서버 확장을 위한 두 가지 방법: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2-2. MS 라이선스
MS SQL Server 2017 라이선스 구매 방법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MSSQL Server 2017
마이크로소프트 SPLA의 모든 것
Part 3. 서버 구축 실무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1. 기초 지식 알아보기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2.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특징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3. CentOS 설치 방법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4. 아파치 설치 및 설정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5. php 설치와 설정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6. DNS 설정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7. MYSQL 설치
Part 4.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장점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섯 가지 조건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가지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종류
가상화의 세 가지 방식
서버 가상화의 장점 ? 유연성
Thin-Client/노하드 시스템이란?
클라우드 컴퓨팅과 보안 문제
클라우드 저장 장치와 P2P 서비스의 차이점
중소기업이 클라우드 도입으로 절약할 수 있는 5가지 비용
Part 5. VPS
쉽게 알아보는 VPS의 정의와 장단점
VPS 호스팅 선택 전 이것만 체크하자!
Part 6. 데이터 센터(IDC)
6-1. IDC 들여다보기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는 IDC의 위치
IDC설계의 핵심, 전원체계 들여다보기
IDC에는 케이지가 있다?
V-IDC 사업자와 계약했을 때의 장점
가비아가 IDC에서 사용하는 4개의 회선
6-2. 랙
랙에 네트워크 장비를 설치하는 방법
랙에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
Part 7. 보안
7-1. 방화벽
네트워크를 지키는 요새, 네트워크 방화벽의 역할
웹방화벽 쉽게 비교하기
안전한 웹서비스를 위한 두 가지 웹 방화벽
리눅스 운영체제 iptables에 기반한 방화벽 설정 방법
7-2. 랜섬웨어/악성코드
알고 보면 쉬운 랜섬웨어 예방법 6가지
바이러스부터 랜섬웨어까지, 자주 나타나는 악성코드들
PC와 모바일이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원리
혹시 내 PC가 바이러스에? 악성코드 감염 징후와 해결법
비트코인, 해킹을 위한 검은 화폐인가 효용성 있는 신개념 화폐인가?
7-3. 보안 상식
호스팅에서 보안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이유
암호화 해야 하는 정보와 저장하면 안 되는 정보
SSL 보안서버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
웹사이트에서 주고받는 정보는 어떻게 보호될까?
취약점 패치 및 보안 업데이트의 중요성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하는 3가지 방법
인트라넷 보안의 약점은 APT! 대응 방법은?
기업의 보안 수준, 어떻게 높일까?
리눅스 보안 이슈를 해결하는 4가지 방법
비트코인, 해킹을 위한 검은 화폐인가 효용성 있는 신개념 화폐인가?
[특별기고] CPU 취약점 종합보고서①: 취약점 기본원리
[특별기고] CPU취약점 종합보고서②: MeltDown과 Spectre Variant 1
[특별기고] CPU취약점 종합보고서③: Spectre Variant 2
Part 1. 그룹웨어
1-1. 그룹웨어란?
그룹웨어의 유래
그룹웨어 기능 알아보기: 전자결재
그룹웨어 기능 알아보기: 게시판
1-2. 그룹웨어 도입 시 고려사항
그룹웨어 구축형 VS 임대형
그룹웨어 보안
그룹웨어 커스터마이징과 API 연동
1-3. 그룹웨어 비교
하이웍스 VS 라인웍스 그룹웨어 비교
Part 2. 하이웍스 시작하기
업무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담은 하이웍스
하이웍스에 사용자 등록하기
Part 3. 하이웍스 활용하기
카톡 업무지시를 피하는 기업용 메신저 사용법
영업팀에 꼭 필요한 공용메일
Part 4. 하이웍스 이야기
[하이웍스 광고] 이상민의 CF 촬영 비하인드스토리 공개!
[하이웍스 광고] 이상민의 마음 속 1등은?
Part 5. 오피스365
오피스365, 구매는 어디서?
오피스365의 세 종류 – 가정용, 비즈니스용, 엔터프라이즈용
오피스365와 오피스2016은 어떻게 다를까
Part 1. 홈페이지 제작
1-1. 홈페이지 직접 제작
나 혼자서도 할 수 있는 홈페이지 제작 방법
무료 홈페이지 빌더, WIX 활용법 ① 홈페이지 만들기
무료 홈페이지 빌더, WIX 활용법 ② 도메인 연결하기
무료 홈페이지 빌더, WIX 활용법 ③ 관리툴 기능 살펴보기
PuTTY를 통한 원격방식 홈페이지 제작법
PuTTY를 사용한 SSH 보안접속
FTP를 이용하는 간단한 웹페이지 업로드
1-2. 홈페이지 외주 제작
시간이 부족한 분들을 위한 홈페이지 제작 방법
홈페이지 제작 외주업체 선정의 3가지 기준
홈페이지 외주제작의 6단계 프로세스
홈페이지 제작의 두 가지 방식-빌더제작과 맞춤제작
웹사이트의 꾸준한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서비스
Part 2. 홈페이지 상식
2-1. 도메인 등록 및 연결
도메인 작명의 핵심, 간결성과 대표성
도메인 등록 업체 선정, 이렇게 하세요
도메인, 웹호스팅 업체가 다를 때 홈페이지에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포털 사이트의 블로그나 카페에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믿을만한 호스팅 업체, 어디 없을까?
2-2. 장벽 없는 홈페이지 만들기
장벽 없는 홈페이지 만들기 – 웹 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을 높이는 두 가지 방법
장벽 없는 홈페이지 만들기 – 웹 표준화
웹 표준을 준수한 홈페이지의 긍정적 효과
2-3. 홈페이지 디자인
내 홈페이지에 딱 맞는 색깔 고르기 팁
홈페이지에 꼭 들어가야 하는 필수 항목
Part 3. 홈페이지 운영
3-1. 검색엔진최적화(SEO)
검색엔진 최적화(SEO),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3-2. 키워드 광고
키워드 광고의 첫 걸음 – 네 가지 키워드 알아보기
키워드 광고 비용과 등록절차
키워드 광고, 등록이 끝이 아니다!
댓글 남기기